가벼운 감기, 방치하면 폐렴·천식으로 발전…최악의 경우 수술 가능성도
[쿠키 건강] 일찍부터 시작된 무더위에 에어컨을 가동시킨 사무실과 가정이 많다. 더욱이 요즘 같은 장마철에는 실내습기를 없애기 위해서도 에어컨을 가동시킨다. 하지만 에어컨에서 나오는 차갑고 건조한 바람은 감기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비염으로까지 전이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에어컨으로 인한 여름감기, 최악의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우선 에어컨으로 인한 여름철 감기는 실내외 온도 차가 5도 이상인 상태에서 장시간 있을 경우 걸리기 쉽다. 증상으로는 으슬으슬 추워지면서 오한·발열이 나타나고 뒷목이 뻣뻣해지기도 한다. 또 맑은 콧물이 주체할 수 없이 흘러내리며 잦은 재채기와 코 막힘 현상, 심지어 소화불량에 만성 피로까지 동반하기도 한다.
보통 건강한 성인의 경우 일주일 정도면 감기가 낫지만 몸이 허약한 성인 또는 면역기능이 약한 어린이·노약자의 경우 합병증을 일으켜 알레르기비염, 중이염, 축농증, 기관지염, 폐렴, 천식 등으로까지 발전된다.
한방이든 양방이든 대부분 가벼운 코감기(급성비염) 때문에 병원에 가게 되면 사흘 정도 먹을 약을 처방받는데 환자 상당수가 약을 꼬박꼬박 챙겨 먹지 못한다. 바빠서 약 먹을 틈도 없거나 먹는 것을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처럼 차도가 없다. 그러다가 병원에 자주 가지 못하고 결국 콧속이 부으면서 만성비염으로 발전한다.
보다 심해지면 코 안이 심하게 부어 분비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안으로 밀려 콧속의 부비동에 쌓이게 된다. 농(고름)이 심하게 쌓이게 되면 중이염과 함께 생길 확률이 높은 급성축농증(급성부비동염)이 된다. 이 상태가 만성화되면 만성축농증이 된다. 이 상태가 좀더 진행되면 수술하지 않고는 해결할 방법이 없게 된다.
여기까지가 여름감기 최악의 시나리오다. 여름감기를 이기기 위한 평소 생활수칙 8가지를 소개한다.
여름감기 이기는 생활습관 8가지
첫째, 예방이 최고다. 평소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감기 뒤끝에 비염이, 비염 이후 축농증이나 중이염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감기관리는 비염관리의 시작이기도 하다.
둘째, 평소 규칙적 운동으로 기초체력과 저항력·면역력을 증강시킨다. 심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셋째, 여름에 덥더라도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직접 쐬는 것보다는 바람 방향을 벽이나 천장으로 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실내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8~22℃의 온도와 45%의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다섯째, 평소 찬 음료를 자주 먹지 않도록 한다. 더운 여름날 찬 음료를 먹지 않고 견디는 것도 고역이기는 하지만 우리 몸은 장이 차고 약하면 설사를 하듯 폐가 차고 약해지면 재채기․콧물․코 막힘이 심해진다.
여섯째, 목욕 후나 머리를 감은 후 반드시 마른 수건이나 드라이어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몸에서 물기가 마르는 동안 기화열에 의한 체온 저하가 여름감기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평소 비염증상이 약하게 있는 경우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생리식염수를 데워 자주 코를 세척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다.
여덟째, 평소 코 점막이 부어 코가 막히고 답답하더라도 함부로 부은 콧살을 절개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 또 습관적 약물남용은 코 질환을 고질화시킬 수 있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항생제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창연 기자 chyjo@kmib.co.kr
<도움말: 코비한의원 이판제 대표원장>
[쿠키 건강] 일찍부터 시작된 무더위에 에어컨을 가동시킨 사무실과 가정이 많다. 더욱이 요즘 같은 장마철에는 실내습기를 없애기 위해서도 에어컨을 가동시킨다. 하지만 에어컨에서 나오는 차갑고 건조한 바람은 감기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비염으로까지 전이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에어컨으로 인한 여름감기, 최악의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우선 에어컨으로 인한 여름철 감기는 실내외 온도 차가 5도 이상인 상태에서 장시간 있을 경우 걸리기 쉽다. 증상으로는 으슬으슬 추워지면서 오한·발열이 나타나고 뒷목이 뻣뻣해지기도 한다. 또 맑은 콧물이 주체할 수 없이 흘러내리며 잦은 재채기와 코 막힘 현상, 심지어 소화불량에 만성 피로까지 동반하기도 한다.
보통 건강한 성인의 경우 일주일 정도면 감기가 낫지만 몸이 허약한 성인 또는 면역기능이 약한 어린이·노약자의 경우 합병증을 일으켜 알레르기비염, 중이염, 축농증, 기관지염, 폐렴, 천식 등으로까지 발전된다.
한방이든 양방이든 대부분 가벼운 코감기(급성비염) 때문에 병원에 가게 되면 사흘 정도 먹을 약을 처방받는데 환자 상당수가 약을 꼬박꼬박 챙겨 먹지 못한다. 바빠서 약 먹을 틈도 없거나 먹는 것을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처럼 차도가 없다. 그러다가 병원에 자주 가지 못하고 결국 콧속이 부으면서 만성비염으로 발전한다.
보다 심해지면 코 안이 심하게 부어 분비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안으로 밀려 콧속의 부비동에 쌓이게 된다. 농(고름)이 심하게 쌓이게 되면 중이염과 함께 생길 확률이 높은 급성축농증(급성부비동염)이 된다. 이 상태가 만성화되면 만성축농증이 된다. 이 상태가 좀더 진행되면 수술하지 않고는 해결할 방법이 없게 된다.
여기까지가 여름감기 최악의 시나리오다. 여름감기를 이기기 위한 평소 생활수칙 8가지를 소개한다.
여름감기 이기는 생활습관 8가지
첫째, 예방이 최고다. 평소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감기 뒤끝에 비염이, 비염 이후 축농증이나 중이염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감기관리는 비염관리의 시작이기도 하다.
둘째, 평소 규칙적 운동으로 기초체력과 저항력·면역력을 증강시킨다. 심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셋째, 여름에 덥더라도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직접 쐬는 것보다는 바람 방향을 벽이나 천장으로 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실내온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8~22℃의 온도와 45%의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다섯째, 평소 찬 음료를 자주 먹지 않도록 한다. 더운 여름날 찬 음료를 먹지 않고 견디는 것도 고역이기는 하지만 우리 몸은 장이 차고 약하면 설사를 하듯 폐가 차고 약해지면 재채기․콧물․코 막힘이 심해진다.
여섯째, 목욕 후나 머리를 감은 후 반드시 마른 수건이나 드라이어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몸에서 물기가 마르는 동안 기화열에 의한 체온 저하가 여름감기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평소 비염증상이 약하게 있는 경우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생리식염수를 데워 자주 코를 세척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다.
여덟째, 평소 코 점막이 부어 코가 막히고 답답하더라도 함부로 부은 콧살을 절개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 또 습관적 약물남용은 코 질환을 고질화시킬 수 있어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항생제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창연 기자 chyjo@kmib.co.kr
<도움말: 코비한의원 이판제 대표원장>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사 힘써야 할 목회는 교육 (0) | 2009.07.03 |
---|---|
장로교회 통합 행보 구체화 (0) | 2009.07.03 |
뇌졸중, 여름 더위가 더 위험 (0) | 2009.07.03 |
″기도회참석자 소환은 종교탄압″ (0) | 2009.07.03 |
안산동산고 장슬기 교사 “진화론 교과서로도 창조섭리 교육 가능” (0) | 200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