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선교 처소장 교육 강의 / 성경해석의 원리
강의안
2. 성경해석의 원리
1) 성경은 어떤 책인가?
(1) 하나님의 계시(계시)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계시(눅24:25-27,44-49,요5:39-47등).
(2) 인간의 언어로 기록된 하나님의 계시.
(3) 인간이 이해하고 구원 얻어 하나님의 자녀(백성)가 되도록 기록(딤후 3:15-17)됨.
2) 성경 해석은 필요한가?
성경은 인간이 이해하여 믿도록 하기 위해 주어진 책이므로 해석(해석)되어야 한다.
(벧후1:20-21,3:15-16).
3) 성경 해석의 원리는 무엇인가?
(1) 언어적 해석원리
- 문맥(문맥)을 따라서 해석하라.
문맥(문맥)은 읽는 본문의 앞 뒤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성경의 해석은 앞 뒤의 문맥과 성경 전체의 문맥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경 전 체의 문맥에 일치시키도록 하라.
- 문자적으로 해석하라.
본문이 비유(비유)나 은유적(은유적)이 아닌한 문자적(문자적)으로 해석하라. 그 말 자체의 일 반적이고 명백한 의미 그대로 이해하라. 이것은 알레고리와 우화적(우화적) 해석을 방지한다.
(삼상 17:39-40(물맷돌 5개를 다른 의미로 해석하는 것)
- 단어의 의미 문법에 따라 해석하라.
한 단어에 여러 의미가 있을 수 있으므로 문맥(문맥) 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비유적인가 문자적인가의 여부, 시제에 대한 연구(동사)에 주의를 하라.(
오류의 예: 완전주의자는 요일 3:6-9을 근거로 중생한 자는 범죄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어의 뜻은 중생한 자는 계속 죄 가운데 살지 않는다는 뜻이다.(요일 3:6-9).
(연구: 요5:24, 시51:4를 근거로 *범죄하면 그리스도인에게서 성령님이 떠난다고 하나 결코 떠 나시지 않는다. 떠나시지 않도록 간구함은 성령의 은총(구원의 확신, 즐거움 등)을 거두지 말 아 줄 것을 간구함이다(시51:5).
고전11:27에서 합당치 않게 먹는 것은 그리스도의 구속의 의미를 모르고 먹는 것을 말한다.
- 문자적으로 해석해서 뜻이 안 통하는 것은 상징적(상징적)으로 해석하라.
하나님의 팔(사53:1), 하나님의 손, 얼굴 등은 하나님의 여러가지 능력을 상징함.
하나님께서 후회, 한탄하셨다는 것은 하나님의 아픈 심령을 인간이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현이다(창6:5-6*민23:18-20,시110:4)(신인 동성 동형론적 표현).
다니엘(단9:23-27,12:11-12)과 계시록에 나타나는 여러 상징들과 숫자들(계 7:1-4,13:15-18, 소 선지서의 여러 상징들을 주의 깊게 연구 이해토록 하라.
(2) 역사적 해석원리
- 저자의 목적을 이해하도록 하라.
자신의 선입관을 버리고 성경 저자의 기록 목적을 찾으라.
성경 기록은 당시의 교회들의 필요성에 의해 기록되어 졌기 때문이다(고린도전,후서).
(예: 눅1:1-4,요20:31,요일 5:13(구원의 확신)).
(연구: 롬1:8-15(복음 전도),벧후 3:1-3, 유1:3).
- 역사적 문화적(문화적) 배경(배경)을 이해하라
성경시대 당시(당시)로 돌아가 삶의 정황(정황)을 알라.
성경의 기록은 진공(진공) 속이 아닌 역사적 삶의 현장(현장)속에서 기록한 것이다.
그러므로 당시의 역사적 배경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오류의 예: 눅9:23*십자가를 단순한 고생, 고난을 짊어짐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당시의 십자 가를 짊은 죽음을 의미함.
왕하2:9 영감을 갑절 요구 - 두배의 능력으로 오해, 그러나 신 21:17에 있는 장자의 유산으로 써, 엘리야의 상속자 되기를 원한 것.
시23:5 기름 바름을 치료나 위로로 오해, 그러나 이 뜻은 손님을 융숭히 접대해 주는 주인을 의미 함,
결론: 성경은 성령의 영감(영감)을 입은 인간의 언어(언어)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다.
그러므로 그 말씀은 인간이 이해(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배우는 목적(목적)은 하나님을 알고 경배하기 위함 인 것이다.(전12:13)
(2) 성경 해석의 특별 원리
(1) 모형 해석론
구약 성경엔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 있다.
(히8:1-6, 요2:18-22, 고전 10:4, 고전 5:7, 벧전 2:18-21).
모형의 종류:
* 인물 (롬5:14, 말4:6- 마 11:14, 17:10-13)
* 제도 (제사 및 성전 의식(의식)
* 직분 (선지자, 제사장, 왕직)
* 사건 (고전 10:6, 11)
* 사물 (성막, 성전)
(2) 비유 해석론
비유는 천국(하나님의 나라)의 의미를 지상의 이야기로 엮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복음서의 비유는 하나님 나라의 본질과 하나님의 구속 행위의 은혜로우신 성격을 보여 준다.
- 비유에는 한 가지 주요 요점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중심 교훈을 찾도록 해야한다.
비유는 우화가 아니다. (연구: 눅15:, 마25:1-13)
- 비유가 발언된 삶의 정황을 이해하라.
비유가 말해진 시기, 상황 등을 살펴보고 전후 문맥을 참고하여 해석한다.
(연구: 눅15:1-2, 마20:1-16(19:30) 마22:11-13)
- 복음서 기자의 비유해석을 살펴보라.
어떤 비유는 예수님 자신의 해석을 기록한 경우가 있다 (마13:18-22, 37-43, 마20:16).
또한 복음서 저자의 해석이 가미된 것도 있다 (눅 19:12-27).
- 비유를 통해 오늘날의 적용을 찾으라
예수님의 비유는 격려와 약속만이 아닌 요청, 위협, 꾸짖음, 도전의 말씀인 것이다.
(눅18:1-8, 눅 13:1-9).
** 비유의 구별
(1)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을 나타내는 비유
* 천국 잔치 비유 (눅 14:15-24, 마22:1-10)
* 결혼식과 금식 비유 (막 2:18-20)
* 겨자씨 비유 (막 4:30-32)
* 누룩 비유 (마 13:33)
* 날씨 징조 (눅 12:54-56)
* 나뉘인 집 (막 3:23-27)
(2)하나님 나라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비유(인간의 결단을 요구함)
* 감추인 보화(마13:44)와 진주 비유(마13:45, 46)
* 불의한 청지기 비유(눅 16:1-8)
* 망대와 전쟁 비유(눅 14:28-32)
(3) 성부 하나님의 성품과 사역의 비유
* 은혜로운 아버지 비유(눅 15:11-32)
* 자비로운 포도원 주인 비유(마 20:1-16)
* 두 빚진자 비유(눅 7:41-43)
* 바리새인과 세리 비유(눅 18:9-14)
(4) 최후의 심판을 가르치는 비유
* 양과 염소의 비유(마 25:31:46)
* 그물 비유(마 13:47-50), 알곡과 가라지 비유(마13:24-30, 36-43)
결론: 하나님 나라의 비유는 천국의 현재성과 미래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죄인을 구원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과 은혜를 계시하며, 지금이 구원의 때요, 은혜의 날 임을 선포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심판의 사실을 일깨우기를 쉬지 않는다.
3. 성경의 적용(순종)은 ?
말씀을 읽고 뜻을 생각하라. 그리고 믿음으로 순종하라.
성경은 순종을 통해 복을 준다고 가르친다(계1:2,신28:).
또한 순종 자체가 복이기도 하다(시1: ).
그러므로 개인적으로나 교회적으로, 믿음으로 순종에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