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학교의 성장 추이 분석
━━━━━━━━━━━━━━━━━━━━
한국교회학교의 성장 추이 분석(3)
━━━━━━━━━━━━━━━━━━━━
5) 종교인구 및 교단 교인수 변화와의 비교 분석
전체 인구의 변화 가운데 종교 인구의 비율도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데, <표-16>과 같이 1991년 54%에서 1994년 49.9%로 줄어들었다. 1991년에는 전체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불교인구 (51.2%)가 48.8%로 감소하였고 유교의 경우는 1.8%에서 0.8%로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독교의 경우, 교세에 있어서 그동안의 급격한 성장은 둔화 되었지만 전체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은 1991년 34.4%에서 36.4%로 증가하였는 데 특히 15~19세의 경우는 전체인구의 55.4%를 차지함으로써 년령이 낮아질 수록 그 비중이 감소하는 불교와 대비해 볼 때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앞으로의 미래 사회 속에서는 기독교가 한국사회의 주된 종교로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청받게 될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선교와 사회봉사, 기독교적 문화 창달에 있어서 더 큰 관심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교단 통계 위원회가 총회 회의록에 발표한 통계를 기초로 지난 1969년 이후 1995년 80회 총회까지의 전체 교인수, 유치부, 아동부, 중고등부, 청년부(대학부 포함)의 학생수 추이를 살펴보면 <표-17>과 같은데 이 통계자료는 정확하게 조사된 통계라기 보다는 보고된 자료를 기초로 한 것임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할 것이다.
전체 교인수는 80년대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최근 2~3년 동안 거의 정체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유치부 학생수는 1987년을 최고점으로 하여 다시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올해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동부의 경우는 1992년이 313,79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시 감소 추세에 있으며, 중고등부와 청년부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낮은 년령일수록 아동인구의 감소영향을 직접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최근에 전반적으로 정체,감소되는 경향으로서 향후 이런 경향이 심화되리라 예상할 수 있다.
<표 - 17 > 교단의 교인수 추이
────────────────────────────────────
전체교인수 유치부 아동부 중고등부 청년부
────────────────────────────────────
1969년 464,470 32,674 173,244 51,617 20,260
1970년 504,728 29,435 170,297 88,533 11,423
1971년 532,020 30,297 165,029 56,513 10,984
1972년 583,814 31,295 167,218 60,892 11,672
1973년 580,616 37,553 132,614 72,805 14,901
1974년 611,154 58,242 172,237 78,110 19,197
1975년 637,937 47,253 184,493 84,625 24,216
1976년 697,937 58,519 191,101 101,066 26,716
1977년 757,845 62,476 208,239 110,634 32,851
────────────────────────────────────
────────────────────────────────────
전체교인수 유치부 아동부 중고등부 청년부
────────────────────────────────────
1978년 808,648 68,773 211,320 117,606 37,570
1979년 903,125 67,145 219,946 130,656 43,943
1980년 969,402 68,325 231,627 148,299 47,544
1981년 115,548 85,891 267,712 174,155 55,931
1982년 1,263,215 83,279 291,709 174,840 60,563
1983년 1,307,351 82,871 267,685 189,190 64,043
1984년 1,373,594 88,885 273,443 206,227 67,167
1985년 1,400,167 90,651 276,447 207,424 68,769
1986년 1,477,740 94,191 286,453 136,543 70,513
────────────────────────────────────
────────────────────────────────────
전체교인수 유치부 아동부 중고등부 청년부
────────────────────────────────────
1987년 1,543,990 107,794 293,517 236,437 75,391
1988년 1,632,934 98,528 289,348 233,947 78,686
1989년 1,660,748 89,767 294,230 235,295 81,218
1990년 1,744,256 88,587 299,951 243,927 90,669
1991년 1,867,416 83,624 313,676 244,761 96,513
1992년 1,989,965 87,228 313,795 258,858 103,614
1993년 2,049,117 87,647 311,602 255,974 105,094
1994년 2,093,967 85,319 269,161 229,966 102,339
1995년 2,094,338 99,282 290,668 264,467 153,330
────────────────────────────────────
또한 우리나라는 상황이 다르지만 미국교회의 교인수 추이를 분석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인데 왜냐하면 한국교회가 10~20년의 간격을 두고 미국교회의 경향을 따라간다고 보는 견해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미국 장로교 (PCUSA)의 최근 10년간의 교인수 추이를 살펴보려고 하는데 1983년부터 1992년까지의 추이를 도표로 나타내면 <표-18>과 같다.
< 표 - 18 > 미국 장로교 교인수 추이 (단위:천명)
────────────────────────────────────
년/분류 교인수 증감수 증감율
────────────────────────────────────
1983년 3,131 -34 -1.1
1984년 3,100 -30 -1.0
1985년 3,057 -43 -1.4
1986년 3,016 -40 -1.3
1987년 2,976 -39 -1.3
1988년 2,938 -38 -1.3
1989년 2,895 -43 -1.5
1990년 2,856 -38 -1.4
1991년 2,814 -41 -1.5
1992년 2,780 -34 -1.3
────────────────────────────────────
자료 : PCUSA, Comparative Statistics 1992
이 통계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 장로교의 교인수는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는데 평균 -1,3%씩 줄어들어 1983년 313만명이었던 교인이 현재 278만명으로 감소하였다. 한국교회, 특히 한국 장로교회가 이 추세를 따르게 된다면 현재의 정체상태에서 더 나아가 머지 않아 지속적인 감소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는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해 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아동수의 감소와 함께 이러한 성인 교인수의 감소는 더욱 교회학교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3. 교회학교 성장의 정체 및 감소요인 분석
그러면 교회학교 성장이 왜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것일까? 본 설문조사에서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한가지 요인만이 아닌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제1원인(가장 중요한 요인)과 제2원인(두번째 중요한 요인)으로 분류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결과, 교회학교 성장의 정체 및 감소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표-19>와 같이 아동인구나 성인교인수의 감소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이 아닌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33.6%)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이 '아동인구의 감소'(20.4%), '복음적 신앙의 쇠퇴'(15.8%)등으로 나타났는데 인구의 감소 현상을 원인으로 생각하는 29%를 제외한 나머지 71%는 교회학교 내적인 문제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는데, 이는 인구감소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교회학교 학생수가 감소하지 않을 수도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표 - 19 > 가장 중요한 정체 및 감소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31명 20.4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13명 8.6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22명 14.5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51명 33.6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24명 15.8
6) 기타 11명 7.2
-----------------------------------------------
총 계 152명 100.0
-----------------------------------------------
두 번째 중요한 요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31.2%가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을 들고 있다. `교역자,교사의 열심 부족'도 역시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동인구나 성인교인수의 감소는 각각 14.9%, 10.6%로서 두 번째 요인으로도 크게 생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 20 > 두번째 중요한 정체 및 감소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21명 14.9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15명 10.6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44명 31.2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38명 27.0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10명 7.1
6) 기타 13명 9.2
-----------------------------------------------
총 계 141명 100.0
-----------------------------------------------
가장 중요한 요인과 두번째 중요한 요인을 합하여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해 보면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30.4%), `교회학교 프로그램 빈약'(22.5%), `아동인구의 감소'(17.7%), `복음적 신앙의 쇠퇴'(11.6%), `성인교인수의 감소'(9.6%)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교회학교 정체 및 감소현상은 외부적, 상황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교회 내적인 문제요 특히 교역자와 교사의 열심 부족과 이로 인한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이 더 큰 원인이었음을 드러내 주는 것이다. 이는 이 부분에서 새로워진다면 오히려 교회학교가 성장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더욱 주목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부서별로 살펴보면, 아동부의 경우는 다른 부서보다 보다 아동인구의 감소에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35.9%가 교회학교 정체의 원인으로 `아동인구의 감소'를 들고 있다. 그 다음이 `교역자, 교사의 열심 부족'인데 28.1%이며, 두 번째 중요한 요인으로는 `교회학교 프로그램 빈약'(26.2%)과 `교역자, 교사의 열심 부족'(26.2%)을 지적하고 있다.
<표 - 21 > 아동부 정체 및 감소의 가장 중요한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23명 35.9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3명 4.7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8명 12.5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18명 28.1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8명 12.5
6) 기타 4명 6.3
-----------------------------------------------
총 계 64명 100.0
-----------------------------------------------
<표 - 22 > 아동부 정체 및 감소의 두번째 중요한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14명 21.5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9명 13.8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17명 26.2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17명 26.2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4명 6.2
6) 기타 4명 6.4
--------------------------------------------------
총 계 65명 100.0
--------------------------------------------------
중고등부의 경우는 교회학교 성장의 정체 및 감소 원인으로 `교역자,교사의 열심 부족'을 꼽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전체의 42%나 차지하고 있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37.5%가 역시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을 들고 있다.
<표 - 23 > 중고등부 정체 및 감소의 가장 중요한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7명 10.1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8명 11.6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10명 14.5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29명 42.0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10명 14.5
6) 기타 5명 7.2
-------------------------------------------------
총 계 69명 100.0
-------------------------------------------------
<표 - 24 > 중고등부 정체 및 감소의 두번째 중요한 요인
--------------------------------------------------
구 분 빈 도 비 율
--------------------------------------------------
1) 아동 인구의 감소 5명 7.8
2) 성인 교인수의 감소 4명 6.3
3)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빈약 24명 37.5
4) 교역자, 교사의 열심부족 18명 28.1
5) 복음적 신앙의 쇠퇴 6명 9.4
6) 기타 7명 10.9
--------------------------------------------------
총 계 64명 100.0
--------------------------------------------------
유아, 유치부나 대학, 청년부는 사례수가 많지 않아 부서별 분석으로는 큰 의미가 없지만 유아,유치부는 교회학교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교역자, 교사 열심 부족을 많이(각각 40%) 지적한 반면, 대학 청년부는 40%가 복음적 신앙의 쇠퇴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이는 부서별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부서별로 다른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설문조사에서 제시한 사항 외에도 교회학교 성장의 정체 및 감소요인으로 지적한 것들을 열거해 보면, 아동부의 경우, 아동문화의 급격한 자극성, 즉흥성, 교회 공동체의 특수성, 공간협소, 거리문제, 문화의 다양성 수용 부족, 영성부재, 교회가 지역교회 성격을 갖고 있지 못함 등을 들고 있고 정체, 감소를 문제삼는 것이 문제라는 의견도 제기 되었다.
중고등부의 경우를 열거해 보면, 세속문화의 도전, 시간의 부족, 학업과의 갈등, 학생에 맞는 신앙교육 개발, 학생현실, 삶에 대한 이해 부족, 교육전도사의 여건미비, 교회의 재정적 지원빈약, 공동체성 상실, 문화적 장벽이 큼, 일반교육에 비해 환경, 교사의 질, 교수법이 뒤떨어짐 등이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