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농군 2009. 9. 24. 13:26

교회의 성질(性質)

1. 교회에 대한 일반적 고찰

교회에 관해 구약에 주로 사용된 용어는 "부르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파생

된 것이며, 신약의 용어는 "불러내다"라는 뜻의 동사에서 나온 것이다. 이

두 명칭은 모두가 교회를 "하나님에 의해 부름받은 회중"으로 표현한다.

⑴ 신약용어의 다양한 의미

대개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예배를 목적하고 모였든 그렇지 않든 간에

지교회(支敎會)를 의미한다(행 5:11, 11:26; 롬 16:4; 고전 11:18, 16:1).

때때로 이 용어는 가정적인 교회, 곧 집에 있는 교회를 의미한다(롬

16:5,23; 고전 16:19; 골 4:15). 가장 포괄적인 의미로 이 말은 하늘에서나

지상에서나를 불문하고, 믿는 자의 모든 무리를 표현하는 것이다(엡 1:22,

3:10,21, 5:23; 골 1:18,24).

⑵ 교회의 본질

로마 천주교와 신교는 교회의 본질적인 성질에 관한 견해에 차이가 있다.

구교는 주교, 대주교, 추기경, 교황과 같은 고위 성직자와 함께 주로 사제들

로 구성되고 있는 외부적이고 유형적인 조직체로서의 교회에서 그 본질을 찾

는다. 신교는 이러한 외적인 관념을 깨고 성도들의 무형적이고 영적인 교통

에서 교회의 본질을 찾는다. 교회는 그 본질적인 성질에서 볼 때 모든 시대

의 성도들 외에는 아무도 포함하지 않는다. 교회는 불신자로서는 참가할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인 지체(肢體)인 것이다.

⑶ 교회의 구별

①투쟁적 교회와 승리적 교회

지상에 현존하는 교회는 거룩한 투쟁을 하는 것이므로 투쟁적 혹은 전투적

교회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천상의 교회는 세상의 창검 대신에 승리의 종려

나무로 대치되므로 승리적 교회라 할 수 있다.

②유형교회와 무형교회

이 구별은 지상에 존재하는 교회에 적용되는 것인데, 이 교회가 영적 성질

에 관계되는 한에 있어서는 무형적이므로, 누구는 교회에 속하고 누구는 속

하지 않는가를 분명히 결정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 교회가 교인들의

신앙고백과 행위 면에서, 말씀과 성례의 사역 면에서, 또 교회의 외적 조직

과 정치 면에서는 유형적인 것이다.

③유기체로서의 교회와 조직체로서의 교회

이 구별은 유형적 교회에만 적용된다. 유기체로서의 교회는 성도들의 교제

면에서와 세상에 대한 공동적인 반항에서 유형적이며, 또 조직체로서의 교회

는 직무와 형체 면에서 유형적이다.

⑷ 교회의 정의

무형적 교회란 하나님의 영으로 말미암아 부름받아 택함받은 자의 영적 무

리라고 할 수 있으며, 또는 단순히 성도들의 영적 회합이라고 정의할 수 있

다. 유형적 교회란 참 신앙을 어린아이와 같이 고백하는 자들의 단체라고 정

의할 수 있다. 우리는 무형교회와 유형교회의 회원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다

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교회의 속성(屬性)과 표지(標識)

교회에는 세 가지 속성이 있으며, 세 가지 표지 또는 외적 특성이 있다.

⑴ 교회의 속성

다음과 같은 3가지 속성이 있다.

①교회의 통일성

로마 천주교의 주장을 따르면, 이 속성은 전 세계에 퍼져있는 조직체로서

의 통일성을 의미하는데, 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인 몸의 통일성을 의미

한다.

②교회의 거룩성

로마 천주교는 교회의 거룩성을 교회의 교리, 도덕적 교훈, 예배, 권징의

거룩성에서 찾으려 하는데 반하여, 프로테스탄트는 완전한 성결로 이끄는 새

생활을 영위함으로써, 그리스도 안에서 거룩하고, 원리 면에서 거룩한 그러한

교회의 회원들 가운데 둔다.

③교회의 보편성

로마 천주교는 특별히 교회의 보편성을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구교가 전

지구상에 퍼져 있으며, 모든 종파들의 총수보다 많은 회원을 가지고 있기 때

문이라고 한다. 반면에 신교는 무형적 교회를 진정한 보편적 교회로 보는데,

그 이유는 교회가 모든 시대와 모든 지역의 모든 신자들을 포함하기 때문이

다.

⑵ 교회의 표지 혹은 외적 특성

교회의 속성이 본래 무형교회에 속하는데 반하여, 교회의 표지는 유형교회

에 속하며, 참 교회를 구별해 내는데는 3가지 특성이 있다.

①말씀의 바른 실행

말씀의 바른 실행은 교회의 가장 중요한 표지이다(요일 4:1-3; 요이 9).

이 말은 말씀 전파가 완전하고 절대적으로 순수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 전파가 기독교의 근본에 있어서 참되어야 하며, 믿음과

행위에 지배적 영향을 끼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②성례의 바른 집행

로마 천주교와 같이 성례가 말씀과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성례는 신적 제

도에 따라서, 합법적 성직자들에 의해 성도들과 그의 자손들에게만 집행

되어야 할 것이다(마 28:19; 막 16:16; 행 2:42; 고전 11:23-30).

③권징의 바른 시행

이것은 교리의 순수성을 유지하며 성례의 거룩성을 보호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다(마 18:18; 고전 5:1-5,13, 14:33,40; 계 2:14,15,20).

자료원 : 합동신학교 서배현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