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기도합시다(문화/예술)
문화예술영역
문화예술
몽골인의 생활방식은 유목생활이며 가축들의 이동경로와 친밀하게 연관되어있다.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초원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도시에서도 대부분의 몽골 인은 이동하기 쉽고, 크며 흰 펠트천으로 만든 텐트의 일종인 게르(Ger)에서 산다.
저는 보편적인 배치를 하고 있다. 즉, 문은 항상 남쪽을 향하게 트고, 뒤를 향하고 약간 서쪽에는 손님을 위한 사랑방이 있으며 저의 뒤쪽에는 연장자나 가치 있는 소유물을 두는 곳이 있다. 그리고 검정색의 벽에 는 부처상과 함께 가족제단, 가족사진 그리고 옷장이 있다.
전통적이고 종교적이며 미신적인 수많은 규칙과 게르에 관련된의상에 대한 설명을 지방주민들에게서 들을 수 있다.
몽골인 들은 티벳불교를 독실하게 믿고있으며 몽골과 티벳과의 연계는 깊고 오래되었다.
모든 독실한 몽골의 불교신자들은 일생에 한번은 신성한 도시인
라사(Lhasa) 에 가보려고 시도한다.
; 티벳인들은 그들의 권능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몽골부족의 지원을 번갈아 가며 받고 있다.
1921년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했을 당시 몽골에는 110,000명의 라마승려가 700 여러 곳의 수도원에서 살고 있었다. 1930년대에서부터 시작하여 수많은 승려들이 체포되고 시베리아의 강제노동현장으로 보내졌으며 다시는 그들의 소식을 들을 수 없었다.
수도원은 문을 닫았고 약탈당했으며 모든 종교적인 제례와 축제는 금지되었다. 1990년이 되어서야 종교의 자유가 다시 생겼다.
그 후로 불교(다른 종교도 마찬가지로)는 눈에 띄게 활기를 띄었다. 수도원은 다시 문을 열었고 심지어 전에 공산당원이었던 사람중 일부가 라마승려가 되기도 하였다. 수도원과 사찰(sum)은 항상 티벳식 이름을 사용하였다. 주목할 만한 소수 수니회교파(Sunni Muslim)는 대부분 카자크(Kazaks)종족으로 되어있는 몽골의 서쪽멀리 있는 지역에 발달하였다.
몽골의 그림, 음악 그리고 문학은 티벳불교 와 유목생활에 근거를 두고 있다. 타삼(Tsam)춤은 악마의 영혼을 몰아내기 위한 춤이며 유목생활과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공산정권시절엔 금지되었다가 다시 충을 출 수 있게 되었다.
전통음악에는 방대한 종류의 악기와 노래형식이 사용된다.
몽골 구미(Khoomi)노래는 매우 정성 들여 연습한 남성들이 목구멍 깊은 곳으로부터 나오는 목소리를 사용하여 고음을 내어 아름다운 조화를 만들어 내고 한번에 여러 개의 음을 발성하기도 한다. 고대 몽골의 전통곡예와 함께 하지 않는다면 전통음악과 춤의 행위는 완벽하지 못하다.
공식언어인 몽골어는 우랄알타이어(Ural-Altaic)계 언어중 하나이며 필란드어, 터어키어, 카자흐어, 우즈벡어 와 한국어도 우랄알타이어계통에 속한다. 1944년부터 러시아 시릴문자(Russian Cyrillic alphabet)가 몽골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몽골은 많은 문학작품을 탄생시켰으며 그것들 중 유럽언어로 번역되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최근에서야 학자들이 가장 중요한 문서중 하나이며 몽골의 위대했던 날들을 찬양하기 위해 쓰여진 몽골루니푸차토치얀(몽골의 숨겨진 역사)을 번역하였다.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몽골의 격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아침식사는 너 자신을 위해 먹고 점심식사는 친구들과 나눠먹고 저녁식사는 적들에게 적선하여라. 가장 잘 차려지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사는 아침식사와 점심식사이다.
보통 기름기가 많은 끓인 양고기와 밀가루가 식탁에 올라오며 때때로 약간의 낙농식품과 쌀이 곁들여 지기도 한다. 몽골 서부의 카자크족의 식사에는 말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이 차려진다. 몽골인들은 차를 매우 즐겨 마시며 일반적으로 수테차이(suutei tsai (소금차))가 있다.
아르히(arkhi)(보드카)를 마시지 않는 사람은 겁쟁이라고 생각하며 가축들이 그들의 집을 만드는 기간동안에는 발효시킨 말 우유에 3%의 알콜을 넣어 만드는 아이락(aikag)을 양조한다. 많은 몽골인들은 이것을 증류하여 알콜 함량이 12%로 증가한 쉬밍아르히(Shimiin Arkhi)를 만든다.
축제 및 행사
연중 가장 큰 행사는 나담축제(Naadam Festival)로서 에린거반나담(eriyn gurvan naadam)으로 알려져 있고 레슬링, 활쏘기, 경마의 "사내다운 스포츠"를 펼친 후 열린다. 축제는 보통 7월 11일부터 13일 사이에 전국에 걸쳐 열리며 1921년 몽골혁명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행사는 축제의 첫날과 둘째 날 에 주로 열린다.
차강사르(Tasgaan Sar(백월))은 1월이나 2월에 있는 음력신년을 시작하는 날이다. 끔찍한 겨울철을 보낸 후에 몽골인 들은 3일 동안 많은 음식과 술과 노래로 축제를 여는 것이다.
문화계의 기도제목
1.몽골인들의 문화속에 깊숙이 침투하여 몽골인들을 속박하고 있는 영적 권세와 세력이 무너지도록 기도하자.
2.몽골인의 삶을 파괴하고 있는 알콜 중독, 폭력, 이혼의 영을 대적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
3.몽골인을 위해 충실하게 그 갈라진 틈에 설 수 있는 중보기도팀이 세워질 수 있도록 기도하자
4.몽골문화계에 평강의 왕이신 예수님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가 기독교인들에게 생겨나도록 기도하자
5.영화 “예수”가 몽골지역에서 상영되고 있는데 몽골전역의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통해 예수님을 만 날 수 있도록 기도하자.
6.넓은 지역에 흩어진 몽골인들을 위해 선교라디오 방송이 귀한 도구가 되고 있지만 지금보다 더 나은 기독교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청취자와 지역이 변화되는 열매를 얻도록 기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