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4: 43-54 / 믿음과 기적
지성인이고 종교적으로 성숙한 니고데모가 밤에 찾아왔을 때 예수님께서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요구하셨습니다.
그런데 신분이 천하고 종교적으로 미숙한 사마리아 여인에게 예수님께서 “네게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생수를 주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이 메시아라는 사실을 종교적으로 미숙한 수가성의 여인은 알게 되었습니다.
너무 기뻐 물동이를 내버려두고 동네로 뛰어 들어가 ‘내가 메시아를 만났다’며 환희와 감격에 찬 목소리로 외칩니다.
고향에서 핍박 받는 선지자
이제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사역을 마치고 갈릴리로 가십니다.
사마리아에서 갈릴리로 가려면 나사렛 지경을 통과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예수님께서 자신이 성장하신 나사렛에 가시지 않고 곧바로 갈릴리로 가셨다는 사실입니다.
43~45절 말씀을 보십시오.
"이틀이 지나매 예수께서 거기를 떠나 갈릴리로 가시며 친히 증언하시기를 선지자가 고향에서는 높임을 받지 못한다 하시고 갈릴리에 이르시매 갈릴리인들이 그를 영접하니 이는 자기들도 명절에 갔다가 예수께서 명절중 예루살렘에서 하신 모든 일을 보았음이더라"
왜 예수님께서 나사렛을 지나치고 갈릴리로 가셨을까요?
그것은 선지자가 고향에서는 높임을 받지 못한다고 하신 말씀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얘기가 누가복음 4장 24절에도 나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고향에서 가족들이나 친족들에게 냉대를 받았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위에서 한 어머니 뱃속에서 나온 형제도 재산 싸움을 벌이고 사업 경쟁을 하면서 모함하고 고발하여 재판하는 것을 종종 봅니다.
그런 일은 성경에도 많이 등장합니다.
요셉이 형들에게 미움을 받아 깊은 우물에 들어갔다가 대상에게 팔려 갑니다.
사무엘 선지자가 이스라엘의 왕을 찾아 기름 부으려 할 때 다윗은 아버지와 형들에 의해 철저하게 배제되고 무시당합니다.
구약의 선지자 예레미야는 고향 아나돗에서 존경받지 못하고 사람들에게 쫓기고 핍박당하고 마침내 죽음을 맞이합니다.
신약의 사도 바울도 마찬가지입니다.
동족들에게 상상을 초월하는 고난을 받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도 다른 곳에선 환영받지만, 고향에서 가족이나 친
척들에게 별로 환영받지 못합니다.
그런 곳에서는 기적도 많이 베풀지 않으신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칭찬이나 격려를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아마 섭섭한 마음은 있었을 것입니다.
요한복음서에 보면 예수님은 사람을 의지하지 않습니다.
사람 속에 무엇이 있는지 아시는 예수님께서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 줄 것인가를 전혀 기대하지 않습니다.
동시에 자신을 향한 비난 조소, 시기 같은 것에도 결코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핍박과 무시가 있었지만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걸어갔습니다.
오히려 갈릴리 사람들이 예수님을 환영하고 존경했습니다.
아마 선입관이 없어서 그랬을 것입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예수님이 성장하신 30년 동안의 생활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대로 받아들였던 것 같습니다.
선입관은 좋은 면도 있는 반면, 사람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여 한 사람의 미래를 막기도 하는 좋지 않은 것입니다.
‘쟤, 어렸을 때부터 내가 잘 알아!’ 과거의 사람만 생각하고 미리 판단해 버리기 때문에 그 사람은 크지 못합니다.
예수님을 찾아온 사람
우리는 현재를 보지 못하고 항상 과거를 돌아보는 게 문제입니다.
자신이 판단해서 “나, 그거 못해!”라고 말합니다.
과거의 실패로 인해 어떤 일을 할 것을 요청하면 못한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발목이 잡혀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는 새로운 것으로 가득하며 항상 열려 있습니다.
우리가 한 사람의 변화할 미래를 보고 만남을 가진다면 굉장히 신선해 집니다.
비록 그 사람이 수가성의 여인처럼 살았다 해도 예수님을 만난 후로 위대한 전도자로 탈바꿈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서로 미래를 보고 만나고 축복해 준다면 그 만남은 훨씬 새로워지고 감동이 있을 것입니다.
선입감을 버리십시오. 기존 생각, 과거의 경험, 상처를 무시하십시오.
믿어 주고 격려해 주면 사람은 꽃이 피는 법입니다.
또 한 가지, 갈릴리 사람들이 예수님을 환영하고 존경했던 까닭은 예루살렘에서 예수님의 활동을 목격한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갈릴리 사람들이 예루살렘을 방문했다가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고 기적을 베푸시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말이나 글로 이해한 게 아니라 눈으로 직접 목격한 것입니다.
신앙 생활은 말이나 글로 아는 것보다 체험적으로 아는 것이 확실하고능력이 있습니다.
46, 47절 말씀에 가버나움에 살고 있는 왕의 신하 얘기가 나옵니다.
이 사람에게 병든 아들이 있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을 위해 예수님을 만나러 가버나움에서 갈릴리 가나까지 찾아옵니다.
예수께서 다시 갈릴리 가나에 이르시니 전에 물로 포도주를 만드신 곳이었습니다.
그곳에 왕의 신하가 있어 그 아들이 가버나움에서 병들었습니다.
그때에 마침 예수님이 유대로부터 갈릴리에 오심을 듣고 요청을 합니다.
47절에 "그가 예수께서 유대로부터 갈릴리로 오셨다는 것을 듣고 가서 청하되 내려오셔서 내 아들의 병을 고쳐 주소서 하니 그가 거의 죽게 되었음이라"
우리는 주변에서 자신의 힘으로도, 현대 의학으로도 어쩔 수 없는 병 때문에 평생 고생하다죽어 가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신이 아픈 것보다 사랑하는 자식들이 아파하면 더 힘들어합니다.
죽어 가는 자식을 보는 부모의 심정은 “차라리 내가 대신 죽고 싶다”라고 말합니다.
제가 아는 어느 분은 근육 마비로 죽어 가는 아들을 두고 있습니다.
“목사님, 아들이 스무 살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애하고 나하고 자살할 수는 없고, 죽어 가는 아들을 볼 수가 없어 교통사고나 났으면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자신은 잘 믿지 않지만, 현대의학으로도 어쩔 수 없으니까 3년여 동안 병 잘 고친다는 사람은 다 찾아다녔답니다.
돈도 많이 썼습니다. 가짜인 줄 알면서도 산기도에 가서 안수까지 받았다고 합니다. 그게 부모의 심정입니다.
아버지의 마음
왕의 신하가 아들이 아팠을 때 똑같은 심정을 가졌습니다.
가버나움에 사는 신하가 갈릴리 가나에 와서 예수님께 말합니다.
‘내 아들의 병을 고쳐 주십시오. 거의 죽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이 그 사람의 요청을 듣고 48절에서 대답하십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너희는 표적과 기사를 보지 못하면 도무지 믿지 아니하리라
이 아버지에게서 두 가지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왜 가버나움에 살고 있는 아버지가 아들의 병으로 인해 예수님을 찾아왔는가?
하나, 예수에 대한 소문을 들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예수가 눈 먼 자의 눈을 뜨게 하고, 귀머거리의 귀도 열리게 하고, 문둥병도 고치고, 앉은뱅이도 일어나게 한다”는 소문이 자자했습니다.
둘, 아버지는 “혹시 내 아들의 병도 고쳐 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라고 생각했음이 분명합니다.
셋, 아버지는 마음이 조급한 나머지 “예수라는 분을 꼭 만나야겠다”는 마음에 하룻길을 걸어 예수님을 찾아온 것입니다.
가버나움에서 갈릴리까지 거리는 약 이십 마일입니다.
그 먼 길을 걸어오며 한 걸음씩 뗄 때마다 “아들이 죽지는 않았을까!”하는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려 봅니다.
죽어 가는 아들을 두고 먼 길을 떠나는 아버지의 심정은 굉장히 복잡했을 것입니다.
“내가 지금 잘 하고 있나. 미친 짓 하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단도직입적으로 예수님께 “내 아들이 죽게 되었습니다.
내 아들을 도와주십시오”라고 요청하는 겁니다.
구원은 요청하는 것입니다.
주여! 저를 살려 주십시오, 도와주십시오,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이보다 더 위대한 기도는 없습니다.
인간이 하나님 앞에 섰을 때 하는 일은 요청입니다.
요청은 겸손입니다. 교만한 사람은 요청하지 않습니다.
기도의 사람들이 되십시오.
기도의 삶을 사십시오.
기도의 능력과 은혜를 경험하며서 사시기를 바랍니다.
'영천외국인교회 > 요한복음 설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5:1-9 / 네 자리를 들고 걸어가라(1) (0) | 2010.07.22 |
---|---|
요한복음 4:43-54 / 믿음과 기적(2) (0) | 2010.06.27 |
요한복음 4: 43-54 / 믿음과 기적 (0) | 2010.06.14 |
요한복음 4:27-42 / 참된 양식 (0) | 2010.06.14 |
요한복음 4:20-26 / 참된 예배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