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교회학교의 성장 추이 분석(4)

시골농군 2010. 2. 24. 18:02

━━━━━━━━━━━━━━━━━━━━

한국교회학교의 성장 추이 분석(4)

━━━━━━━━━━━━━━━━━━━━

4.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개선방안

교회학교가 정체되거나 감소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교회학교 성장을 가능케 하는 개선방안일 것이다. 현재 교회학교 부서를 맡고 있는 교육지도자들이 생각하는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첫번째 중요한 개선방안과 두번째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38.2%가 `생명력있는 예배에로의 갱신'을 들고 있다.

교회학교 예배가 새로워지지 않고서는 교회학교가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전도를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고 분반공부도 중요하지만 예배의 생명력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는 인식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예배를 준비하고 설교를 담당하는 교역자들의 변화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게 되는데, 교역자들이 어떻게 예배를 새롭게 하느냐에 교회학교 성장여부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 25 >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가장 중요한 개선방안

----------------------------------------------------------

개 선 방 안 빈 도 비 율

----------------------------------------------------------

1) 전도를 열심해 해야한다 19명 11.0

2) 신세대에 맞는 교회교육 프로그램개발 33명 19.1

3) 생명력있는 예배에로의 갱신 66명 38.2

4) 제자훈련으로의 전환 7명 4.0

5) 부모신앙교육의 강화 10명 5.8

6) 새로운 교재(분반공부)의 필요성 1명 0.6

7) 예배시간대의 조절 2명 1.2

8) 교사교육의 혁신 26명 15.0

9) 기타 9명 5.2

--------------------------------------------------------

총 계 173명 100.0 --------------------------------------------------------

두번째 중요한 개선방안으로는 29.4%가 `신세대에 맞는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들고 있는데 교회학교가 오늘의 신세대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는 한 교회학교가 활성화될 수 없음을 지적한 것이다.

<표 - 26 >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두번째 중요한 개선방안

--------------------------------------------------------

개 선 방 안 빈 도 비 율

--------------------------------------------------------

1) 전도를 열심해 해야한다 11명 6.5

2) 신세대에 맞는 교회교육 프로그램개발 50명 29.4

3) 생명력있는 예배에로의 갱신 23명 13.5

4) 제자훈련으로의 전환 10명 5.9

5) 부모신앙교육의 강화 17명 10.0

6) 새로운 교재(분반공부)의 필요성 11명 6.5

7) 예배시간대의 조절 1명 0.6

8) 교사교육의 혁신 39명 22.9

9) 기타 8명 4.7

--------------------------------------------------------

총 계 170명 100.0 --------------------------------------------------------

첫째, 둘째 중요 개선방안과 순서를 정하지 않고 응답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표-27>과 같은데 `생명력있는 예배에로의 갱신', `신세대에 맞는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사교육의 혁신', `부모신앙교육의 강화', `전도를 열심히 해야 한다'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두가지 요인 외에도 교사교육의 혁신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는데, 교사의 영성과 자질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을 통하여 교회학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표 - 27 > 개선방안에 대한 전체적인 반응

--------------------------------------------------------

개 선 방 안 빈 도 비 율

--------------------------------------------------------

1) 전도를 열심해 해야한다 36명 8.3

2) 신세대에 맞는 교회교육 프로그램개발 99명 22.8

3) 생명력있는 예배에로의 갱신 105명 24.1

4) 제자훈련으로의 전환 25명 5.7

5) 부모신앙교육의 강화 39명 9.0

6) 새로운 교재(분반공부)의 필요성 21명 4.8

7) 예배시간대의 조절 8명 1.8

8) 교사교육의 혁신 83명 19.1

9) 기타 19명 4.4

--------------------------------------------------------

총 계 435명 100.0 --------------------------------------------------------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설문조사에서 제시되지 않은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아동부의 경우를 열거해 보면 교육자료개발-감각적 교육방법(인격의 만남, 감정, 느낌의 교육), 신앙의 정통성 회복, 헌신과 다짐의 사명감 고취, 교회학교 전용 예배실, 교육공간의 부족, 교육에 대한 교회적 투자, 삶으로서의 신앙, 공동체의식 교육, 목회자의 인식전환, 교역자의 교회성장에 대한 열망고취 등을 들고 있다.

중고등부의 경우는 교사의 사명감과 헌신의 재확인, 교역자, 교사의 철저한 사명감, 학생, 부모, 가정, 학교, 교회간의 유기적 관계 형성, 교회학교에 대한 목회자, 성도의 의식전환 등이 지적되고 있다.

5. 나오는 말

앞에서 살펴본 대로 한국교회는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은 채 정체되고 있으며 사실상 감소하기 시작했는데, 교회학교의 감소 경향은 성인의 경우보다 더 심각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향후 5년, 또는 10년 후의 한국교회의 기초를 뒤흔드는 것으로서 실로 `위기적인 증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미국교회가 경제 공황 때에 급성장했다가 경제적인 부를 성취한 1960~70년대부터 쇠퇴하기 시작한 것은 강단에서 American Dream을 선포한 기복신앙의 댓가라고 교회성장학자들이 진단하는 것처럼, 한국교회도 그저 교회에 출석하는 것에만 관심을 둔 물량주의적 목회방식에서부터 이제는 내면의 성숙을 통해 '진정한 성장'을 추구하는 교육목회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교회학교도 전도 프로그램 못지않게 예배의 갱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사교육의 혁신을 통한 내적 갱신이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지속적인 성장은 이런 신앙적 성숙을 가능케 하는 '교육하는 교회'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