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건 주 의와 신 학
․퓨리탄니즘: 17세기의 대륙에서 개신교 정통주의의 시대가 열리고 있는 동안 영국에서는 퓨리탄이즘이 등장했는데, 그들이 성공회와 로마 카톨릭의 예배의식과 관습중 성경에 없는 것은 제거하려 했고, 교회가 국가와 야합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개인의 신앙을 중요시 했다. 퓨리탄들은 교회의 성도가 되려면 은혜의 체험을 말해야 한다고 규정했는데, 이것이 경거주의의 사인이었다. 17세기의 유럽은 끝없는 교리논쟁을 벌였고, 이러한 논쟁은 상류층에서는 계몽주의 받아들임으로 해결하려 했고, 낮은 계층에서는 영성을 추구하는 경건주의 성향을 띄게 되었다.
․야곱뵈메: 구두수선공인 뵈메는 당시의 차가운 교리주의와 가톨기의 텅 빈 예배의식에 대한 항거로 영의 자유, 내적인 삶,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계시를 내세웠다. 그는 “문자는 죽인다.”라는 원칙에 근거하여 믿는자들은 성경에 의하여 인도함을 받아서는 안되고 성경 기자들을 영감시켰고 지금도 신자들을 영감시키는 성령에의해 인도함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지폭스: 폭스역시 구두 견습공으로 하나님이 인간이 만든 교회에 거하시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내적인 빛”이라는 것을 제시 했다. 이것은 모든 인간안에 존재하는 씨앗이므로 하나님을 찾기 위해서 반드시 따라야 할 참된 길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는 깔뱅의 전적타락을 거부했다. 그것은 자연론자들의 자연적 이성도 아니고 하나님을 가리키는 도덕적 원칙들도 아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지닌 하나님의 현존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다. 따라서 이 내적인 빛에의한 하나님과의 교제가 어떤 외적 수단에 의한 하나님과의 교제보다 선행한다. 처음에 이들은 자신들을 ‘빛의 자녀들’이라 불렀는데 폭스 자신은 ‘친구들’이라는 이름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이들 폭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종교적 열광이 몸의 떨림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들을 ‘Quakers'라고 불렀다. 폭스의 추종자들중 가장 유명한 이는 윌리암 펜이다. 그는 영국 해군 장군의 아들로서 찰스 2세에게로부터 빚으로 미국의 펜실바니아주를 받아 ’형제사랑의 도시‘(Philadelphia)라고 명명하였다. 펜의 이러한 관용의 정신은 미합중국의 헌법에 수용되었고, 다른 나라의 헌법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스웨덴보그: 폭스가 세상을 떠나기 3년전에 태어난 스웨덴보그는 귀족출신으로 최상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영계에서 영원한 진리를 볼 수 있었다는 것을 주장했다. 그에 으하면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나님의 속성을 반사하기 때문에 가시적 세계는 불사시적 세계와 상응한다는 것이다. 오직 영적 세계에 들어간 사람들에 의해서만 인식되는 진리들을 반사하고 있는 성경도 역시 가시적 세계와 상응한다고 한다.
이상의 세 신비주의자들 가운데 폭스만이 큰 운동을 전개하였고 믿는 자들의 공동체를 중요시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에 관심을 기울였다.
․슈페너와 프랑케: 슈페너는 ‘전독일의 상담자’라고 불려졌던 인물로 그의 저서 ‘경건한 열망’에서 경건주의의 기본성격을 제시했다. 이 작품에서 그가 제기한 그 시대의 죄악상은 교회에 대한 정부의 간섭, 성직자의 합당치 못한 삶, 신학논쟁, 평신도들의 술취함과 부도덕과 이기주의라고 지적 했다. 슈페너는 개인의 체험적 신앙이 먼저 있고 그 다음에 교리가 와야 한다는 것이 그이 입장이었다. 슈페너는 6가지 개혁안을 제시 했다. 첫째는 성경연구에 더욱 힘을 써서 개인의 종교를 더욱 심화시킬 것, 둘째로 평신도를 교회일에 더욱 깊이 참여시킬 것, 셋째로 기독교인들은 무미것조한 신학 이론에서가 아니라 실천적인 일에 몰두할 것, 넷째로 모든 신학논쟁에 있어서 사랑의 정신을 보여 다른 사람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해야 할 것, 다섯째로 목사들의 도덕생활과 영성생활에 초점을 두고 신학교육을 시킬 것, 여섯째로 확신있고 열정적인 설교로 사람들을 회심시킬 것 등이다.프랑케는 수천의 기독교인들의 경건주의운동을 받아들였고, collegia pietatis에 참여하였다. 경건주의는 많은 박해에도 불구하고 루터교 전체에 영향을 주었다.
후기 중세기적 신비주의 방불케하는 신비주의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18세기의 경건주의는 루터교의 자체 개혁의 목소리요, 17세기 정통주의와 18세기의 계몽주의에 항거하는 목소리로서 크나큰 역사적 의의를 지니며, 18세기 영.미 계통의 복음적 부홍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경건주의는 개인주의에 치우쳐있고 자선의 차원에서만 사회문제를 보고 구조악에 대한 대응책이 없는 것도 큰 약점이다.
'교회사 자료실 > 교회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준관의「신학적 교회론」을 읽고 (0) | 2009.09.23 |
---|---|
에버리 덜레스의 「교회의 모델」을 읽고 (0) | 2009.09.23 |
개혁주의 교회와 신조 (0) | 2009.09.23 |
감리교회의 시작과 특색 (0) | 2009.09.23 |
감리교회의 신학사상 (0) | 2009.09.23 |